Visual Studio Community 2015 설치 파일에서 ‘작업이 중단되었습니다’ 오류가 날때

iOS, Android 타겟 개발툴을 추가하려고 Visual Studio 홈페이지에서 Community 2015버전의 설치본을 받아서 실행하였더니 아래 오류가 떴다.

보통은 어느경로의 무슨 파일을 열어 로그를 확인하라고 안내 메시지가 함께뜨던데 저건 그런내용이 없었다. 그래도 MS는 로그를 잘 남기니까 Temp 폴더에서 확인해보니 역시나 로그가 있었다.
경로는 C: – 사용자 – (계정폴더) – AppData – Local – Temp. (탐색기에서 경로에 %TEMP%, 또는 실행에서 %TEMP%를 입력해도 알아서 해당 경로가 나타난다. Temp폴더의 하위 폴더로 열리는 경우도 있긴하지만-_-)

수정한 날짜순으로 정렬하면 dd_setup_년월일시분초_bootstrapper.log 파일이 생성되어있다. 가장 최근에 생성된 로그를 열어보면 아래와같은 로그가 있다.

[10E8:10E4][2017-03-03T11:23:14]i000: === Logging started: 2017-03-03T11:23:14+09:00 ===
[10E8:10E4][2017-03-03T11:23:14]i000: Bootstrapper v14.0.6023.29133, Windows v6.2 (Build 9200: Service Pack 0), command line: vs_community_KOR__1819365676.1470295662.exe
[10E8:10E4][2017-03-03T11:23:14]i000: Detected bundles: 22, related: 0
[10E8:10E4][2017-03-03T11:23:14]i000: Downloading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532606&clcid=0x412 with IFileOperation, file: C:\Users\ADMINI~1\AppData\Local\Temp\2\{F2B3054F-7A62-49A2-9331-D87D9210F666}\vs_community.exe, attempt: 1
[10E8:10E4][2017-03-03T11:23:14]i000: User canceled the download or was disconnected.
[10E8:10E4][2017-03-03T11:23:14]e000: Error 0x80004004: Failed to download bundle: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532606&clcid=0x412
[10E8:10E4][2017-03-03T11:23:14]e000: Error 0x80004004: Failed to download bundle.
[10E8:10E4][2017-03-03T11:23:15]i000: Process exit code: 0x80004004 (-2147467260)

여기서 Failed to download bundle: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532606&clcid=0x412 이곳에 적혀있는 주소를 브라우저에서 직접 열어주니 실제 설치본이 다운로드되었고 설치구성 변경이 가능해졌다.

MS는 왜…. 이러는걸까? 분명 처음 OS 설치하고 비쥬얼 스튜디오 설치 문제없이 잘 했는데 뭐가 불만일까 -_-;;;

크롬 캐스트 쓸만하다

아이폰으로만 써봤지만(안드로이드 폰이 있지만 크롬 캐스트를 사용하려고 꺼내서 써볼 필요성까지는 없어서) 연결을 할 때 약간 시간이 걸린다는 한가지만 빼고는 쓸만했다. 현재 사용해본건 유튜브와 넷플릭스. 설치 방법같은건 구글링하면 많이 나오기때문에 패스.

유튜브에서 크롬 캐스트 연결하고 영상을 재생시키면 마치 음악앱에서 음악을 재생시키는것과같이 조작이 가능해진다. 폰에서 직접 크롬 캐스트로 영상을 전송하는것이아니라 크롬 캐스트에서 영상의 재생정보를 받아서 직접 스트리밍 받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 덕분인지 아이폰이 잠금모드일 때 깨우면 음악 재생시 나타나는 화면이 나타나서 볼륨을 조절한다거나 재생구간을 조절한다거나 등등 음악 앱 다루듯이 가능해진다. 자동재생을 On시키면 유튜브의 관련영상 자동으로 재생되는 기능과 동일하게 관련영상이 계속 재생되니 그냥 유튜브 영상재생기가 되어버리기도한다.

넷플릭스는 유튜브처럼 유연하게 조작할 수 없지만 크롬 캐스트 아이콘으로 영상을 재생시키도록 할 수 있고 넷플릭스 앱에서 볼륨이나 영상의 재생위치를 변경한다거나 하는것이 가능하다. 아마… 안드로이드에서는 같은 구글제품이니 좀 더 여러가지가 가능할거같지만 폰의 화면을 1:1 복사하여 미러링하는 것 말고는 크게 기능면에서 차이를 보일거같지는 않다.

PC의 크롬 웹브라우저에서도 넷플릭스나 유튜브로 영상을 보면 크롬 캐스트 아이콘이 보이는데 이것또한 폰에서와 마찬가지로 크롬 캐스트에서 직접 영상을 스트리밍 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TV를 쓰고있더라도 상당히 유용한 기능. 제목을 검색한다거나 하는 동작이 힘든 TV 리모컨보다 폰이나 PC에서 직접 TV로 영화나 영상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으니 누군가 놀러왔을 때 영화를 본다거나 유튜브 영상을 본다거나 할 때 쓸만한 장치인거같다.

지금은 이걸 그냥 디지털 TV를 사용하고있는 고향집에 쓸만한가 여부를 알아보고 충분하면 달아놓으려고샀지만 어쩌면 내가 사용할 용도로도 하나 더 구입을 할거같다. UHD되는 크롬 캐스트 3이 나올때 까지 기다릴지… 아니면 그냥 크롬 캐스트 2를 사놓고 나중에 3가 출시되면 추가로 살지는 조금 생각해봐야겠다. (가격적인 부담감이 크지않아서 아마도 2를 먼저 사서 사용하다가 3이 나오면 사서 쓸거같다.)

P.S. 1. 어떻게 동작되는건지 구글링해도 거의 설명되어있지않아 처음엔 크롬 캐스트에 몇가지 설치할 수 있는 앱이있고 그걸 통해서 조작해서 서비스를 사용하는건가? 생각했었는데 그런건 아니였다. PC의 크롬 브라우저나 모바일 앱에서 크롬 캐스트로 스트리밍 영상을 재생시키도록 넘겨주는 것일 뿐이였다.

P.S. 2. 크롬 캐스트와 연결했던 앱이나 모바일 기기의 연결이 끊겨도 크롬 캐스트에서 재생중인 영상은 계속 재생된다. 단, 모바일에서 와이파이등을 잠깐 끊었다가 아니면 끊겼다가 연결되면 실제적으로는 크롬 캐스트와의 연결이 해제되어버리는데 이 때 앱에서는 바로 다시 연결을 시도하는것이아니라 연결이 되어있는것으로 인식되어있어 동작이 이상해진다. 그냥 앱을 종료시키고 다시 실행해야 맘편하게 정상사용이 가능해진다. (언젠가 해결될거라고 생각되지면 현재는 아니다.)

P.S. 3.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직접하면 색상이 세가지이지만 그 외 다른곳에서는 검은색만 살 수 있는거같다. 이마트 트레이더스에 직접 가서 사거나 트레이더스 앱에서 주문을 하는것이 플레이 스토어 보다 더 빠르게 제품을 써볼 수 있는것으로 보인다. 25일 토요일 늦은 밤에 주문을하여 월요일 오후 5시 48분에 상품이 택배사에 접수되고 다음날 화요일 저녁 8시 쯤에 받았다. 단, 트레이더스 앱에서는 앱 내 매장을 이마트몰로 선택하여 크롬캐스트 검색을 해야한다. 트레이더스 앱에서 트레이더스 물건을 검색하면 ‘크롬 캐스트 오디오’만 나온다.

우리나라는 넷플릭스 가능한 TV 찾기가 쉽지않다

https://devices.netflix.com/ko/ 이곳에서 볼 수 있는 넷플릭스 로고. 정확하게 이것이 상품 정보에 표기가 된다는것인지 넷플릭스 홈페이지에서만 사용하는것인지는 잘 모르겠다(설명이 정확하지 않기도하고).

얼마전 엘지 매장에 찾아가서 넷플릭스 가능한 TV좀 알고싶다했더니 명확하게 이런 목적으로 찾아온 손님이 없어서인지 점원조차 모르고, 제품 카탈로그에도 스마트 TV에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었다. 일단 스마트 TV라며 안내 받은 TV는 있었지만 매장의 점원조차 다루기 힘들어하던 리모컨과 TV의 인터페이스. 설정 메뉴에 앱이라는 내용이있고 TV후면에 이더넷 포트, Wi-Fi가 내장되어있는걸 봐서는 일단 스마트 TV라는 부류에 속하는것같지만 이것이 어디까지되고 안되는지 리모컨으로 직접 조작하여 메뉴를 둘러보았으나… 회사에있는 동일한 엘지의 스마트 TV와 완전하게 달라 좀처럼 기능을 둘러보기가 힘들었다. (오히려 3~4년 된 사무실의 스마트 TV가 더 사용자 조작이 직관적이였다. 일단 사무실의 스마트 TV는 기본적으로 내장되어있는 앱 말고는 다운로드 센터나 스토어같은건 찾을 수 없었고 스마트 TV라고 넷플릭스 되는거라고 생각하면 안된다고 생각하고있기때문에 무조건 된다고 생각하기도 힘든상태.)

위 링크 페이지 우측하단의 삼성이나 엘지 두 제조사 로고를 클릭하여 들어가보면 엘지같은경우 대놓고 넷플릭스를 홍보하면서 TV가 나열되어있다. 삼성은 따로 넷플릭스가 명시되어있지않지만 엘지와 삼성 둘 다 제품의 선택가능한 분류, 제품의 종류부터 우리나라 자국의 제품소개 페이지가 훨신 부실하게 되어있다. (아무리 외국시장이 우리나라 내수시장보다 훨신 크다곤해도 자국에 대한 안내가 부실한건 도무지 이해하기힘들다. 거짓말 살작 보태면 동내 매장에 전시되어있는 제품이 홈페이지 제품보다 많을것이다.)

거기에 한술더떠서 엘지는 Smart+3D TV항목에 등록된 55LF6200은 스마트 TV가 아니다. 단순히 3D TV일뿐이다. 당최 이게 왜 여기에 등록이되어있는지 전혀 모르겠다. 현재 제품이 딱 세개밖에 없는데 세 제품을 둘러보니 이 분류가 Smart+3D TV가 아니라 Smart or 3D TV이다. -_-;; (이것들 + 와 or 의 차이를 모르는건 아닌가 하는 억측이든다.)

(http://www.lge.co.kr/lgekor/product/media/tv/productDetail.do?cateId=1190&prdId=EPRD.285449)

뭐… 상품이 부실한건 좋게본다면 제품을 보러 방문한 사용자에게 엄선된(?) 제품의 정보만 재공하여 선택의 복잡함을 줄여주기위해서 일부러 카테고리가 외국 제품페이지보다 절반도 못미치는것일 수 있고… 나쁘게 본다면 그냥 관리를 못하는것일 수 있다고본다.

평소 전자기기 알아보는것을 자주 하기도했고 집에도 내 책상에 전자기기만해도 7가지씩이나 올려놓고 사용하는 나조차도 넷플릭스가 되는 TV하나 알아보는데 소요된 삼일동안 매장가보고 제조사 홈페이지가보고 넷플릭스 홈페이지가보고 오늘 사일째 되는 날 이 글을 쓰기까지되었다. 내가 넷플릭스 페밀리로 끊어서 구독하고있기도하고 추석때 집 TV가 망가져서 가까이 살고있는 매형이 바꿔준 일이 생기고나서 아쉬움에 평소 들어보았던 크롬 캐스트로 시청방법 찾아보고, 기왕 내 집에서도 TV의 필요성이 느껴져 제품을 찾게되었는데 이렇게까지도 찾기가 힘들지는 몰랐다.

 

P.S. 이 글을 쓰면서 상품하나를 클릭하게되었는데… 드디어 넷플릭스가 언급된 제품을 보게 된건 안비밀. 일단 webOS 3.0을 쓰는 엘지 TV는 공통될것이라고 어느정도는 믿어보아야겠다. (그래봐야 제조사 제품 페이지에 등록된 제품이 부실하지만)

 

역시 값싼것은 피해야한다

필요에의해 유선 환경에 무선을 통해서 접속을 하려고 만원대로 구입할 수 있는 ipTIME의 mini를 사게되었다. (실상 이 크기에 무선 브릿지가 되는거 찾기가 쉽지 않을거 같다.) 지금은 ipTIME 홈페이지에 mini3이 출시되어있지만 안테나를 피하다보니(…)

mini_01

저렇게 생겼고 손바닥보다 작은 크기. 깔끔하고 주된 목적은 휴대하기 편한 무선 공유기정도이다.

암튼, 최근출시된 mini3도 이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mini 모델은 자사의 ipTIME의 공유기조차 무선 검색하면 검색을 못한다. 그나마도 채널 2번으로 설정하면 잡히다 안잡히다 하던데 나머지 채널은 몇개 시도해봤지만 마찬가지였다.

%e1%84%89%e1%85%b3%e1%84%8f%e1%85%b3%e1%84%85%e1%85%b5%e1%86%ab%e1%84%89%e1%85%a3%e1%86%ba-2016-12-03-%e1%84%8b%e1%85%a9%e1%84%92%e1%85%ae-9-29-28

(그와중에 옆에있는 ipTIME 공유기는 못찾으면서 SK나 U+의 무선 네트워크는 쓸대없이 잘잡는다. 화면 공간이 부족해서 나타나지않았을 뿐 ollehWIFI도 몇개나 더 잡았다. 내 아이폰 6S보다 더 많이 뜬다. 공유기에서 무선 검색 해서 비교해보니 자사 공유기 빼곤 아주 잘 검색한다. 라즈베리 파이 3의 무선랜에서도 뜨고 연결 잘 되는 내 ipTIME A2004NS만 빼고 다 잡는다. 서로 호환성이 그리 좋지 않은 무선랜을 사용해서 그런건가? -_-)

수시간정도 삽질을 해본결과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무선 멀티브릿지가 되었다. Continue reading 역시 값싼것은 피해야한다

윈도 7 업데이트 확인이 오래걸릴 때 해결법 두번째

이미 한번 해결법을 올린적이 있었다. (링크)

LG 컴퓨터의 공장초기화로 출하상태로 OS를 복구시켰을때 이전에 올린 방법대로 업데이트하면 되었지만, 여전히 윈도 7으로 출시되는 산업용 PC같은 경우엔 해결되지 않았었다. 이미 한달도 전에 해결법을 찾았지만 자꾸 그러한 PC를 세팅해서 보내야 할 일이 생겨서 미루다 미루다 이제서야 정리해본다(…).

Continue reading 윈도 7 업데이트 확인이 오래걸릴 때 해결법 두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