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일런트 힐 f – 사쿠코 일기 및 여우신님의 비밀 트로피 정보

약 5회차 엔딩을 봐도 신에 씐 무녀 트로피 획득이 안되어 찾아보니 사쿠코의 일기는 1, 2, 3+회차마다 얻을 수 있는 일기가 달라지며 1, 2회차에 얻지 못한 일기가 있다면 8번 일기를 얻지 못하는 버그가 있다는 글들이 있다. UFO 엔딩을 2회차에서 보게되면 또 꼬이는게 있는지도 잘 모르겠다. 덕분인지 하나가 부족하여 1회차부터 다시 시작하면서 기록하는 회차별 사쿠코 일기 위치. (일기 번호는 임의로 붙였다.)

덤으로 추가하는 여우신님의 비밀일기를 위해 열어야하는 상자와 문 위치. 단, 2회차는 가슴 장식을 공양 안하는것을 기준으로 한다. 공양을 해버리면 후반부 주인공 집에서 상자를 열지 못하는 일이 생긴다. 그리고 한번의 회차에서 여우 문장 문을 전부 열어야 하는거같은데 확실히 모르겠다. 이미 열었던 여우 문장 문을 다시한번 전부 열다보니 트로피를 얻게되었다.

아래는 회차별 얻는 아이템 위치.

Continue reading 사일런트 힐 f – 사쿠코 일기 및 여우신님의 비밀 트로피 정보

macOS(맥OS)의 타임머신 백업이 안될경우 해결 법

AFP 지원이 종료 된 후 언젠가부터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백업이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간 신경 안쓰다가 백업 안한지 너무 오래되어 몇시간 헤딩하면서 해결 방법을 찾게되었다.

아래는 증상이 나타나는 화면

SMB로 전환 후 한동안 백업이 되었던거같은데… 어느날 백업 안된지 오래되었다는 알람이 발생하여 확인하니 저렇게 타임머신 백업이 계속 실패했었다. 구글링을 통하여 알게 된 log show --info --style compact --predicate '(subsystem == "com.apple.TimeMachine")' --last 5m 명령으로 타임머신 로그 메시지 조회를 해보았다.

ChatGPT에 로그 메시지를 넣어서 해결법을 요구하니 “의 백업” 문구의 한글 인코딩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알려주었다. (맥에서 기본적으로 한글을 처리할 때 풀어쓰기를 사용하기때문에 발생하는 버그인지 서로 불일치가 일어난거같다. 분명 잘 되던 백업이 어느날 부터 안되는걸 보면 AFP 지원 종료 후 뭔가 잘못 건든게 있는 듯 하다.)

ChatGPT에서는 명령줄로 변경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지만…

백업이 끝나면 마운트 해제되므로 위 내용 그대로 할 수 없다. 핵심은 백업 미디어의 볼륨 이름을 바꾼다는 것이므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변경했다. 참고로 새로운 백업을 생성 한 경우 백업 실패 메시지 까지 떠야 한다.

Continue reading macOS(맥OS)의 타임머신 백업이 안될경우 해결 법

사힐런트 힐 f 팁

짧은 팁 세가지

1. 수수께끼 난이도 짙은 안갯속의 자물쇠 암호는 수첩 그림을 유심히 봐야했다. 수레요괴는 머리가 두개니까 두번째 기호, 우산요괴는 팔이 네개니까 네번째 기호, 솥요괴는 다리가 세개니까 세번째 기호.

2. 포대화상 연관 퍼즐 중 진홍빛 물은 퍼즐 난이도와 관련없이 산-물-나무이며 소즈(대나무 통)에서 나는 통 소리가 발생하는 주기를 하나의 사이클이라고 치면 사이클마다 한번씩 종이 순서대로 울려야 함.

아래는 녹화 영상

Continue reading 사힐런트 힐 f 팁

docker 컨테이너에서 실행 중인 gitlab에 fail2ban 적용하기

구글 AI가 외곡 된 개요를 보여줄 때도 있지만 종종 도움되는 설명을 해주는 경우도 자주 있다. 몇시간동안 삽질하다가 “docker container reject ip”로 구글링하여 표시된 AI 개요를 바탕으로 ChatGPT에 “fail2ban에서 sudo iptables -I DOCKER-USER -s 1.2.3.4 -j DROP 명령으로 ip를 차단하도록 하려면?”을 입력하여 출력 된 결과를 옮겨적는다.

설정파일 추가 (/etc/fail2ban/action.d/iptables-docker.conf)

[Definition]
actionstart = true
actionstop = true
actioncheck = true

actionban = iptables -I DOCKER-USER -s <ip> -j DROP
actionunban = iptables -D DOCKER-USER -s <ip> -j DROP

[Init]
name = default

gitlab의 ssh 로그 규칙 추가 (젠투 리눅스 기준 /etc/fail2ban/jail.conf)

[gitlab-sshd]
enabled   = true
port      = 1022
filter    = sshd
logpath   = /opt/docker/gitlab/logs/sshd/current
maxretry  = 5
findtime  = 60
bantime   = 7d
mode      = extra
action    = iptables-docker[name=gitlab-sshed]

gitlab 컨테이너는 1022 -> 22로 포워딩 설정 되어 있으며 /var/log/gitlab를 호스트의 /opt/docker/gitlab/logs로 마운트 시킨 상태. 위 규칙은 sshd 필터를 사용(잰투 기준으로 gitlab 컨테이터의 sshd 로그가 필터링 되었다), mode는 extra로 복잡한 규칙까지 사용, 1022로 외부에서 연결되며 60초동안 5회 로그인 실패하면 7일간 차단한다.

iptable 액션으로 차단 안되던 아이피가 iptables-docker 액션을 추가하여 추가한 gitlab-sshd 규칙에 해당 action을 설정 후 fail2ban을 재시작하면 아래와같이 바로 차단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삽질에서 또한번 겪게 된 문제지만, ChatGPT는 명확한 답을 가지고 있음에도 해결법을 찾아서 질의를 보내지 않으면 절대로 알려주지 않는 경우나 잘못 된 정보를 알려주는 경우가 의외로 자주 발생한다.

Continue reading docker 컨테이너에서 실행 중인 gitlab에 fail2ban 적용하기

Qt 6.7버전 부터 발생한 사소한 QNetworkRequest 문제

사소하면서 어쩌면 사소하지 않은 문제가 6.7버전부터 발생하였다.

6.6버전까지 HTTP 헤더는 아래와같은 형식의 네이밍을 가진다.

6.7버전 부터는 아래와같은 네이밍을 가진다.

문자열이 아닌 QByteArray여서 그런지 라인피드가 이스케이프되어 표시되는데 보기 편하지 않지만 자세히 보면 6.6버전까지는 단어 첫 글자가 대문자로 시작하지만 6.7버전 부터는 모든 글자가 소문자로 변했다. 보통의 웹서버는 문제가 없지만 간혹 문제가 되는 서버가 있다.

예를 들면 SHIP같은 가벼운 웹서버 같은 경우다.

프로젝트 주소: https://github.com/xgfone/ship

대소문자 무시하여 헤더를 얻지않기때문에 소문자로 되어 있으면 Content-Type 헤더를 얻어오지 못한다. 덕분에 Bad Request를 응답하게 된다. 따라서 이걸 사용한 장비가 있다면 직접 HTTP 프로토콜을 구현하거나 Qt 소스를 고쳐야한다.

이것도 Qt의 버그라고 해야할지 모호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Content-Type로 헤더를 보내지 content-type로 보내는 경우는 지금까지 본적이 없다. 버그리포트 하기가 좀… 귀찮기도하고 그냥 지금은 Qt 6.6.3을 받아서 써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