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터 헌터 월드 사운드 설정

팁이라고하기엔 너무나도 부실한 팁.

첫 시작 때 사운드가 박진감 너무 없어서 이상했는데 기본 설정이 TV 스피커 출력이여서 그랬던거같다. 가끔 기본 설정이 저가형 스피커 기준으로 되어있어 2.1채널 스피커를 쓴다거나 헤드폰으로 즐길 때 어딘가 나사빠진 음향출력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몬헌 월드도 이러한 경우인거같다.

(위에 다이나믹 레인지 설정이 풀 레인지 스피커, 멀티 웨이 스피커같은 유닛 종류에 따른 설정인 줄 알았지만 하위항목 설명을 보니 그런건 아니였다.)

우퍼가 따로있는 스피커를 쓴다거나 헤드폰을 쓴다면 기호에 맞게 설정하면 저음만큼은 확실하게 차이나게되므로 음향에 쓴 돈값어치를 좀 하게 될것이다(…).

덧) 사냥 좀 해보니 느껴지는것이 대형 몬스터와 전투 시 음악이 은근 박진감이 없다 orz

두근두근 문예부 한글패치 1.1.7버전 맥에서 적용하기 (1.2버전 가능)

전 버전의 영상을 유튜브 주계정에 올리지 않았음을 알게되어 다시 녹화 하려다 한글패치가 1.1.7로 업데이트되고 기존의 방법이 안된다는것을 알게되었다. 방법은 거의 같지만 다른점이 한가지있으므로 새로운 글로 패치 과정을 기록한다. (이번엔 귀찮으므로 글로는 대충적고 영상으로 때워야겠다.)

추가) 1.2버전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확인 완료.

1. 최신 한글패치(현재 1.1.7버전)와 renpy sdk를 다운로드한다.
renpy 6.x.x: https://www.renpy.org/release/6.99.14
한글패치: https://sites.google.com/view/dokidokikor
(댓글의 제보에 의하여 renpy sdk 링크를 6버전대의 sdk로 변경)

2. 한글패치 다운로드 페이지를 참고하여 [로컬 컨텐츠 폴더]를 연다.

3. 한글패치의 game 폴더내 파일 세개를 선택하여 [로컬 컨텐츠 폴더] 내의 game 폴더로 이동하여 덮어씌운다.

(game 폴더를 복사하여 대치하면 다른 파일들이 지워지고, 병합하면 파일의 수정날짜로 비교하여 덮어지거나 넘어가버리므로 복사되지않을 수 있다.)

4. renpy sdk의 renpy 폴더를 복사하여 [로컬 컨텐츠 폴더]에 붙여넣기하고 대치한다.

5. [로컬 컨텐츠 폴더]에서 DDLC 패키지 폴더를 연다.

6. Contents – MacOS – lib – darwin-x86_64 – Lib 폴더로 이동한다.

7. renpy sdk 폴더에서 lib – darwin-x86_64 – lib – python2.7 폴더로 이동한다.

8. 7번에서 열어놓은 python2.7 폴더에서 pygame_sdl2와 renpy폴더를 복사하여 6번에서 열어놓은 Lib 폴더에 붙여넣기하여 대치한다.

9. 실행하면 끝!

아래는 영상으로 남기는 한패과정

두근두근 문예부 맥에서 한글패치 적용하기

1.1.7버전 한패방법은 이쪽글 참고

Doki Doki! 활기찬 타이틀의 이 음성과는 뭔가 다른 반전들이 있는거같은데 이미 채널 섬네일과 인터넷 방송에서 도네 영상으로 중요한 몇몇 장면을 스포당한거같다 ㅠㅠ

그건 그거고 한국에서 맥 사용자 많지 않을거같지만 그냥 올려보는 잡다한 팁(?) 쉘 스크립트로 만들면 맥용으로도 배포할 수 있겠지만 그런건 한글패치 제작자에 대한 예의가 아닐테니 직접 수작업으로 패치하는 방법을 적어본다.

1. 먼저 최신버전의 한글패치를 받는다.
https://sites.google.com/view/dokidokikor/home

2. renpy 최신버전을 받는다.
https://www.renpy.org/latest.html
dmg파일로 받을필요 없이 tar.bz2 확장자 파일로 받는다. 그 후 다운로드 폴더에서 tar.bz2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압축을 풀어놓는다.

3. 게임 폴더를 연다.
– 한글 패치 다운 페이지를 참고하여 [로컬 컨텐츠 폴더]를 연다.
– 한글 패치의 파일 중 game 폴더 안의 파일 세개를 복사하여 [로컬 컨텐츠 폴더]의 game 폴더에서 덮어씌운다.

(모두 적용을 체크 후 대치를 클릭. game 폴더를 복사 후 병합을 하게되면 파일의 날짜가 대상폴더의 날짜보다 이전일 경우 덮어씌우지 않기때문에 이렇게 파일을 세개 선택하여 덮어씌우도록 한다.)
올바르게 복사되었다면 game폴더안의 fonts.rpa 파일의 크기가 2메가 미만에서 아래와같이 10메가가 넘는 파일로 변경된다.

– 한글 패치의 파일 중 renpy폴더를 [로컬 컨텐츠 폴더]에 붙여넣어 대치한다.

– [로컬 컨텐츠 폴더]에서 DDLC 패키지 폴더를 연다.

– 패키지 폴더에서 Contents – MacOS – lib – Darwin-x86_64 – Lib 폴더를 연다. 그럼 아래와같은 파일이 보인다.

– renpy 홈페이지에서 받은 sdk폴더에서 lib – darwin-x86_64 – lib – python2.7 폴더를 열면 아래와같은 파일이 보인다.

– 마지막으로 열어놓은 sdk의 python2.7폴더의 renpy폴더를 DDLC 패키지 폴더의 Lib폴더에 붙여넣어 기존 파일들을 대치한다.

4. 실행한다.

완료.

나중에 버전업데이트가 되어서 안되는 때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럴리 없으려나? 암튼 이쯤에서 끝!

덧. 1차 플레이 후기(?)
엔딩 크레딧까지 봤는데 크레딧에서 나오는 CG의 절반정도밖에 못봤다. 첨부터 다시 해봐야겠다(…). 참고로 고어틱한거 싫어하는 사람은 플레이 전에 한번 상기하고 해보길. (어차피 지금 시점에 트위치 시청자라면 중요한거 다 스포 당했으려나?)

신 요마와리 – 떠도는 밤 : 심연 플레이.

* 역시나 개인적인 생각. 플레이 타임은 약 이틀. (20시간 정도) 거창하게 길게 평가한 글은 아니다.

화이트데이 다음으로 해본 올해의 세번째 공포게임. 먼저 공포게임을 잼있게하여 기억에 남는 타이틀은 아래가 대표적이다.

1. 사일런트 힐 오리진, 사일런트 힐 3 (이건 플스를 빌려서 했었다 ㄷㄷ)
2. 화이트데이 2015 모바일 (2017판은 실망이므로 제외)
3. 바이오하자드 7
4. 이블위딘
5. 언틸던

그리 많지않다. 실제로 공포게임을 많이한건 아니다. 그냥 이 게임에 재미를 느낀 기준이 무엇일지 감을 잡기에 도움이 될까하여 나열 해 보았다. 그 외 맘에 들었던건 아기자기한 캐릭터와 그래픽.

암튼 게임에 만족을 하긴했지만 먼저 단점을 뽑자면 아래와같을것이다.
– 평상시 게임 난이도와 너무 차이나는 보스전
– 마을을 돌아다닐 때 자주나타나는 로딩 렉 (약 0.3 ~ 0.5초정도)
– 약간은 비싼 가격 (3.5 ~ 4만원정도라면 적당하지 않았을까)
– 유독 소리 크기가 잘못 조절된듯한 지하수로에서의 발소리 (텝댄스용 신발인가? 싶을정도)
– 통계데이터 미제공 (죽은 횟수, 플레이타임, 숨겨진 이벤트 및 아이템 수집률 등등)
– 패드 연결이 끊기거나 SHARE 메뉴 진입 시에도 일시정지 없이 게임이 계속 진행 Continue reading 신 요마와리 – 떠도는 밤 : 심연 플레이.

화이트데이 2017년 리메이크는 실망을 안겨주었다.

참고: 한시간 이상 플레이 하지않은 상태로 올리는 개인 생각의 글이니 다소 다른 사람과 생각이 매우 다를 수 있습니다.

스팀판은 패치가 이틀에 한번정도 되어가니 빠른 피드백과 빠른 패치가 되고있다는 평가가 나오고있긴하다. 문제는 이것이 유저의 피드백을 받아서 패치될 수준의 내용인가? 대다수가 그렇지않다고 생각한다. 그저 두세달 내부에서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문제가 없는가 테스트를 했으면 지금 발생하여 수정 된 패치의 절반도 안되는 수준으로 문제가 지적되었을것이다.

아래는 짧은 플레이 와중에 내가 느꼈던 문제. Continue reading 화이트데이 2017년 리메이크는 실망을 안겨주었다.